코딩테스트/Study
[알고리즘] 스택과 큐에 대한 개념정리
Rowen Jobs
2023. 7. 27. 19:28
728x90
반응형
Stack(스택) 은 후입선출, 저장소 형태는 아래와 같고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구조이다.

위 이미지를 확인하면 맨윗 부분에 나중에 들어온 값이 먼저 나가는것을 알 수 있고 삽입과 삭제가 일어나는 부분을 Top 이라고 한다.
연산에 대해 정리는 아래외 같다
Top: 삽입/삭제가 일어나는 위치
push : Top 위치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연산
pop : Top 위치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확인하는 연산
peek : Top 위치의 데이터를 단순히 확인하는 연산
Queue(큐) 는 선입선출, 저장소 형태는 아래와 같고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것이다.

위 이미지를 보면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가는것을 알 수 있다. 새값이 들어오는 왼쪽 위치를 rear 이라 하고 나가는 위프를 Front 라고 한다
연산에 대해 정리는 아래와 같다.
rear : 새로운 값이 들어오는 위치
front : 나가는 값의 위치
add : rear 위치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는 연산이다.
poll : front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확인하는 연산이다.
peek 큐의 맨앞(front) 에 있는 데이터를 단순 확인하는 연산이다.
스택과 큐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았고 보통 해당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