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개발
- 그리디알고리즘
- 챗지피티
- jsp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네트워크
- 탐욕알고리즘
- Spring
- 프로그래머스
- HTTP상태
- SQLP
- javascript
- HTTP
- 알고리즘코딩테스트
- codingtest
- JQuery
- java
- 개발자
- 정렬알고리즘
- 자바
- SQL
- 하루코딩
- Python
- API
- 파이썬
- 백준
- 서버
- ChatGPT
- SQLD
- Today
- Total
목록SQL (5)
개발자's Life
친절한 SQL 튜닝 책을 공부하면서 I/O 가 나왔는데 무슨 의미인지 몰라서 검색을 했다. 우선 이 말이 나온 구절은 아래와 같다 " 비용은 쿼리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I/O 횟수 또는 예상 소요시간을 표현한 값이다." Input/Ouput 을 의미하고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횟수를 말한다고 판단이 된다. 즉, 입/출력 의 횟수를 의미하는것이며 이 말은 SQL 분야가 아니더라도 IT 분야에서 두루두루 쓰이고 있는 말인거 같다.
Spring 과 JPA 를 이용하여 게시판을 구현하는 공부를 진행중에 있다. 아무래도 회사에서는 접하지 못하는 JPA 를 사용을 해서 그런지 아직 생소하고 신기하기도 하다. (설정 부분이 아직도 헷갈림) 회사에서는 JSP, Mybatis, Spring 등 을 사용하고 있고 Mybatis 부분을 사용하고 있기에 쿼리문을 다 작성하고 진행을 한다. 하지만 JPA 는 코드를 입력하고 쿼리문을 알아서 작성을 해주고 Print 하여 작성 된 쿼리문도 확인이 가능했다. 편리한 부분은 확실히 편리한거 같고 장단점이 있을거 같다. 아직 JPA 완전 초기 입문 단계라 정확히 파악은 안되어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새로운걸 배우는건 즐거운 일인거 같다(즐겁지만 더 노력이 필요..) 초격차패키지로 개발공부를 하니 좋은점은 여러..
SQL 옵티마이저는 실행계획의 예산비용을 산정하여 최저 비용을 선택한다. 즉, 내가 쿼리문을 보내게 되면 해당 쿼리문에 대하여 파싱을 하고 그 후 실행계획들을 세워 최적의 실행계획으로 선택을 하게 된다! 이 실행계획을 미리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나의 SQL 이 테이블을 스캔하는지, 인덱스를 스캔하는지 확인을 할 수 있고 실행계획이 내가 생각했던것과 다르면 미리보기 이후 수정을 할수도 있다. 이론으로는 이해가 가는 부분이지만 실제로 깊게 공부를 하게 되면 아직은 많이 미흡함을 많이 느낀다.
올 한해의 목표 중 하나인 SQLP 자격증에 도전할려고 한다! 대학교 중퇴에 비전공자 개발자로써 SQLP 도전할 자격이 없었지만 2020년 12월에 취득한 SQLD 덕에 응시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되었다. 응시자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dataq.or.kr/www/sub/a_03.do 데이터자격시험 SQL 전문가(SQLP*, SQL Professional)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조작하고 추출하는데 있어서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QL을 작성할 수 있고, 이를 토대 www.dataq.or.kr 일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dataq.or.kr/www/accept/schedule.do 데이..
DML 이란 DATA MANIPULATION LANGUAGE 의 약자입니다. Insert : DB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넣을 경우에는 ' ' 로 감싸서 데이터를 넣어줍니다.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1, 컬럼2, ...) VALUES (컬럼1에 넣을 데이터, 컬럼2에 넣을 데이터...) ※ 꼭 테이블에 있는 컬럼을 다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NOT NULL 인 경우에는 DB Table 자체적으로 Default 값을 지정해주든, 값을 넣어주든 해야겠죠? 만약, 전체 컬럼에 넣을 경우에는 (컬럼1, 컬럼2, ...) 생략하고 VALUES 다음에 전체 컬럼에 넣을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 Update : DB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