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프로그래머스
- codingtest
- 자바
- SQLD
- API
- SQLP
- jsp
- 정렬알고리즘
- JQuery
- HTTP상태
- ChatGPT
- HTTP
- 알고리즘코딩테스트
- 탐욕알고리즘
- Python
- 그리디알고리즘
- 챗지피티
- 알고리즘
- 개발
- SQL
- java
- Spring
- 개발자
- 파이썬
- 서버
- 코딩테스트
- 하루코딩
- javascript
- 백준
- 네트워크
- Today
- Total
목록Developer Daily (15)
개발자's Life
오늘은 예산 자료들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자료들을 보면서 생각했던 관계들은 1:N:N:N:1 관계로 예상(업무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할수가 없음) 예상을 했고 미팅 당시에도 그렇게 이야기를 했었는데 자료를 보다보니 꼭 그런것 만은 아니였다. 오히려 N:N:N 관계들이 분리가 되어 각각 데이터가 관리가 되어야 했고 생각했던 프로세스가 변경이 되었다. 이런 하나하나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설계하고 개발을 진행하게 되면 해당 기능은 의미가 없어진다고 생각이 든다. 처음부터 제대로 잡히지 않은 개발은 시간낭비에 무의미하다. 그래서 하나하나 더 꼼꼼히 보고 어떻게 설계를 하고 연계를 지어야 할지 고민에 고민이다. 혹시나 신입개발자인데 기능요청-자료분석-설계-개발-테스트 까지 처음부터 진행이 되어야 한다면 어떤 기..
예산 기능 자료 분석을 하였다. 더존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도 연동이 필요하여 더존 시스템을 보고 DB 를 까서 Comment 달린 내용들이 있으면 그것들을 유추하여 테이블들을 검토하고 실제 더존 시스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테이블들을 대략적으로 찾았다. 우선 큰 제어가 없는 예산 기능이여서 그렇게 어려운 설계는 되지 않을듯 싶다. 추후 개발되는 신규 모듈과 연동이 될 것을 생각하고 진행해야 하고 현재 구현 되어 있는 시스템들과도 연동이 될 부분이 있는지도 확인하며 설계를 진행해야 한다. 내가 하는 업무들이 PM 쪽 업무도 많이 하고(기능 협의)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배포 까지 진행하는데 이제 1년이 다 되가는 개발자들도 이렇게 진행하는지도 조금 궁금하다. 큰 회사일수록 많은 부분은 접하진 않지만 ..
오늘은 현 관리하는 시스템 양식을 다른 시스템으로 양식을 전송하는 기능에 이미지 에디터 기능(Toast UI)을 이용하여 양식에 이미지까지 추가되 전송을 해야했다. 이전 작성 된 코드에는 정상적으로 이미지 기능이 있는 에디터 함수와 이미지 기능을 막아놓은 함수가 있었다. 아마 개발 당시에도 불가능해서 그런건지 시간 소요가 너무 많이 걸려서 그렇게 해놓은건지는 모르겠으나 쉬운 작업은 아니였었을거 같다.. 내가 관리하는 시스템 내부에서만 저장하는 이미지를 관리하는데는 문제가 없는데 Toast UI 이미지 추가하게 되면 img 태그의 src 는 base64 형태로 나오는것이었다. 그렇게 다른 시스템에 에디터 편집 내용을 전송하게 되면 img 태그에는 src가 나오지 않았던 것이다. base64 를 구글링 했을..
요즘은 여러 기술들을 접하고 싶어 FastCampus 의 초격차 패키지를 듣고 있는중이다. 현재 배우고 있는 내용은 기본적인 CRUD 이지만 JPA 를 이용하여 기능 구현을 하는 내용이라 JPA 를 접해보지 않은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을 주고있다. 익숙해진다면 편리하게 쓰이겠다 생각이 들긴 하지만 JPA 를 하기전 MyBatis 를 이용하여 쿼리문에 익숙해진 다음 JPA 를 공부한다면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회사에서는 Spring MVC , Mybatis, Mysql, JSP 를 이용하다보니 Vue 나 JPA 등의 기술을 접할 기회가 없어 개인적으로라도 공부를 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개발자가 될거 같다. 새로운 기술들을 공부하여 조금 더 트렌디한 개발자가 되고 알고리즘, 자료구조 등의 공부도 ..
오늘은 요즘 하고 있는일에 대해 간단히 적어본다. 우선 신규모듈 자재관리를 진행하다 ERP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회사에서 요구했던 내용들이 점점 바뀌어 설계과정에서 계속 fix 가 들어갔다. 그렇게 분석 및 설계 딜레이가 컸고 회신이 늦은 부분도 컸다. ERP 시스템 사용 회사 담당자가 바빠서 협의가 잘 되지 않아 개발을 미루고 다른 신규모듈을 먼저 진행하게 되었다. 예산 모듈을 진행하게 되고 요즘은 asp 와 ISS 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만지고 있는데 현재 발전된 개발환경에 감사함을 느꼈다... IntelliJ 나 sts 사용시에는 찾고싶은 단어를 검색만 하면 찾아주는데 asp는 하나하나 다 까서 확인하고 include 되는 부분 경로를 다 찾아 들어가 까봐야 했다. DB Connect 도 사용이 필..
강의 듣는 중 보일러 플레이트 라는 단어를 언급하여 보일러 플레이트가 뭐지? 검색을 해보았는데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는 간단히 말하자면 반복되는 코드라고 보면 될듯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보면 이해가 될 듯 하다. https://www.wisewiredbooks.com/term-dict/common/boilerplate.html 보일러플레이트 코드 - 프로그래밍 용어사전 원래 보일러플레이트는 19세기에 증기 보일러를 만들때 틀로 사용하는 강철판을 의미했다. 보일러플레이트에는 보일러 이름 등의 제조 정보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어서 보일러플레이트를 통과 www.wisewiredbooks.com